아주경제와 홍콩 문회보가 26일 서울 태평로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2014 아시아태평양 금융포럼(APFF)’에서 추경호 기획재정부 차관이 내놓은 견해다.
추 차관은 이날 특별강연을 통해 “세계경제의 4분의1을 차지하는 미국이 시장 예상보다 양적완화 축소를 빠르게 진행하거나 정책금리를 조기 인상할 경우 신흥국의 불안이 가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추가 양적완화 축소에 속도를 내는 것은 그만큼 경기회복세가 빠르다는 것인데 이 경우 신흥국의 자금이 미국으로 급격하게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까닭에서다.
양적완화 축소가 빨라질수록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가 당겨지는 것도 신흥국 경제에 타격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지목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금리인상 기조로 이동하게 되면 신흥국들이 느끼는 금리인상 압력은 더욱 커져 가뜩이나 위기권인 신흥국 경제를 옥죌 가능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신흥국 발 위기가 무서운 것은 ‘도미노 효과’ 때문 이라고 그는 말했다. 추 차관은 “신흥국 국가 여러 곳이 위기를 겪게 될 경우 세계경제를 요동치게 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는 내년 초쯤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추 차관은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최근 기준금리 인상 단행 시점을 ‘양적완화(QE) 조치 종료 후 6개월’로 제시했다”면서 “순차적으로 계산한다면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는 오는 10월이다. 그러나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미국의 경제 상황을 고려해 양적완화를 진행하는 만큼 양적완화 축소에 더욱 속도를 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 봄 이전에 미국의 금리인상 단행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다만 그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인한 경기회복이 우리경제에는 긍정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미국의 경기 회복이 빨라지는 것은 즉, 글로벌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게 이유다. 추 차관은 “미국의 수요 증가가 글로벌 경제 성장을 주도함으로써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같은 나라 역시 이에 따른 이득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우리 경제가 신흥국과 차별화되고 있다는 것도 재차 강조했다. 추 차관은 "한국은 10년 넘게 경상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으며 부채 건전성 역시 신흥국과 다르게 높다. 또 외환보유액은 세계 7위 수준이다"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나 그는 신흥국을 비롯, 중국 및 유로존 경제성장 둔화 등 수많은 리스크가 상존하는 만큼 우리 금융시장 역시 예기치 못한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추 차관은 "관계기관 간 유기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주요 이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외채, 외화유동성 등 대외 건전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주요국 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와프 등 다층적 금융안전망 확충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선진국 양적완화 관련 정책공조 등 국제공조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제체질 개선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추 차관은 "우리 경제 회복의 불씨가 지속되기 위해선 무엇보다 경제의 체력이 강해야 한다"며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마련한 목적도 우리 경제의 체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