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기초공천에 갇힌 신당, 안철수 간판으로 탈출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31 16: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 [사진=안철수 홈페이지]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지율에 비상이 걸린 새정치민주연합이 안철수 공동대표를 전면에 내세워 정면 돌파를 시도하고 나섰다.

안 대표는 31일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등을 고리로 박근혜 대통령을 재차 압박한 데 이어 고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 언급하며 대여투쟁을 주도했다. 새 정치와 민생을 기치로 내건 안 대표를 앞세워 선거를 치르겠다는 신호탄인 셈이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을 믿고 가야 한다.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바보 같다는 평을 들으면서도 끊임없이 자기를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주셨고, 국민들은 이를 잊지 않고 결국 대통령까지 만들어 낸 것”이라고 말했다.

당 밖으로는 박 대통령과의 대립각을 통해 대여전선을 뚜렷이 구분 짓고 당 내부적으로는 기초선거 무공천을 둘러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일거양득’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한 안 대표를 전면 부각시켜 △수도권 △20∼40세대 △화이트칼라 등 중도층을 포섭하겠다는 공학적 셈법도 포함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새정치민주연합은 창당 이후 시너지효과는커녕 지지율이 정체되면서 지방선거 전패 위기론에 휩싸였다.

지난 28일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의 정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당 지지도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주와 동일한 28%에 그쳤다.

반면 새누리당은 같은 기간 1% 포인트 상승한 43%를 기록했다. 새누리당 지지도는 3월 첫째 주 39%에서 이번 주 43%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해 작년 4분기 평균 수준을 회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 포인트다.

그러는 사이 당 내부에선 기초선거 무공천 재고 여론이 봇물처럼 터져 나왔다. 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과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공개적으로 당 지도부의 전략을 질타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의원은 이날 서울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기초선거 공약 폐지 이행 촉구를 위한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원 의원은 기초선거 보이콧까지 주장했다. 당 내부에서조차 파열음이 나오는 상황이다.

지역 정가 사정은 더욱 암울하다. 지역 한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새누리당이 공천을 유지하는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만 무공천을 고수한다면 전패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문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당력을 기초공천 폐지에 집중하는 사이 국정원(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 대선 개입 의혹과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 사건 등의 이슈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이 ‘민생과 안보’에 방점을 찍으면서 이슈 실종 사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제1호 법안인 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과 긴급복지지원법 개정안, 사회보장수급권자의 발굴 및 지원법 제정안 등은 앞서 같은 당 남윤인순 의원과 이낙연 전 의원, 유재중 의원이 낸 법안과 중복되면서 민생 살리기 취지가 퇴색됐다.

그러다 보니 전선은 더욱 분명해졌다. 안 대표가 기초공천 폐지 이슈를 앞세워 박 대통령에게 회동을 제안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얘기다.

새누리당은 이날 안 대표의 회동 제안에 대해 “자기 당 내부에서 기초공천을 해야 한다는 거센 주장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꼼수”라고 파상공세를 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을 끌어들여 기초공천 문제를 다시 선거 이슈로 만들어 보겠다는 속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향후 박 대통령, 새누리당과 안 대표의 진검승부는 계속될 전망이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략과 관련해 “안 대표가 전면에 나서는 것은 예상됐던 수순”이라며 “박 대통령을 지렛대 삼아 자신의 경쟁력으로 높이는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를 의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정치민주연합은 안 대표 지지율이 오르지 않을 경우 지방선거 전망이 어둡다”며 “안 대표를 통해 40대, 수도권, 화이트칼라 계층을 끌어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