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에 공시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회계연도에 법인대리점 텔레마케팅(TM)에 의한 보험상품 불완전판매율은 흥국생명이 2.58%로, TM영업을 하는 16개 보험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불완전판매율은 신계약건수 대비 품질보증 해지건수, 민원 해지건수, 계약무효건수를 합친 비율이다. 16개 생명보험사의 평균 불완전판매율은 1.14%다.
그중 TM 비중이 25%에 달하는 동양생명과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의 TM 불완전판매율은 제로였다.
다만, 동양생명은 작년 신계약건수가 6건에 불과했으며 BNP파리바카디프생명의 신계약건수는 2380건이었으나 모두 인바운드TM(고객이 광고를 보고 직접 전화하는 형태) 이었다.
손해보험사 가운데 TM 불완전판매율이 가장 높은 보험사는 롯데손해보험(3.40%)으로, TM 영업을 하는 11개사의 평균치인 0.78%를 크게 웃돌았다.
보험업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설계사 채널의 불완전판매율은 생보업계에서 우리아비바생명(2.09%), 손보업계에서 LIG손해보험(0.52%)이 최고였다.
반면, 생보업계 1위인 삼성생명의 불완전판매율은 6개 채널에서 모두 업계 평균치보다 낮았다.
한화생명은 6개 채널 가운데 TM 및 홈쇼핑 법인대리점 2개 채널에서 불완전판매율이 평균치를 약간 웃돌았다.
교보생명의 불완전판매율도 TM 법인대리점과 설계사 채널에서만 평균치를 소폭 웃도는 수준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손보업계 1·2위인 삼성화재와 현대해상도 TM 법인대리점 채널을 제외하고 나머지 6~7개 채널에서의 불완전판매율이 업계 평균치보다 낮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