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AP 등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계층별로 소득 격차가 심화되면서 중산층인 미국인들 사이에서도 ‘더 이상 중산층이 아니다’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연구ㆍ조사 기관인 퓨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여기고 있는 미국인의 비율은 2008년 53%에서 올 1월 44%로 낮아졌다.
반면 자신을 중하위층 또는 저소득층이라고 여기는 비율은 2008년 25%에서 올 1월 40%로 높아졌다.
갤럽 조사에서도 자신을 중산층 이상이라고 여기고 있는 미국인의 비율이 2008년 63%에 서 2012년 55%로 하락했다.
가장 최근 자료인 미국 국립여론조사센터 자료에서도 스스로를 '중산층 이하에는 속한다'고 여기고 있는 미국인 비율은 2007년 92%에서 올해 88%로 낮아졌다. 이는 국립여론조사센터가 같은 여론조사를 해온 지난 40년 동안 최저치다.
문제는 이런 상대적 박탈감이 확산되면 실제 구매력과는 상관 없이 소비 위축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퓨리처치 센터의 리처드 모린 선임연구원은 “사람들이 자신의 계층별 위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의 심리적 문제는 고스란히 소비 패턴에 반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