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부실대출 문제가 잇따라 불거지자 일부 은행들이 부랴부랴 집안 단속에 나섰다.
앞서 일부 은행이 KT ENS 직원과 협력업체에 2000억원대의 부실대출을 해준 사실이 드러나고, 일부 은행 도쿄지점은 부당대출 및 비자금 조성한 혐의까지 받는 상황이다. 최근 몇개월 사이 은행 여신관리 시스템의 허점이 고스란히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다 세월호 침몰 사건의 관련 기업에 부실대출을 해준 정황까지 드러나면서 은행권에는 비상이 걸렸다.
일단 은행들은 영업점 경영평가인 KPI 체제에 부실대출 방지안을 담았다. 그간 KPI가 실적에만 치우쳐 부실대출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농협은행은 부실여신의 조기 적발·조치에 대한 평가를 KPI에 반영키로 했다. 사업 추진에서도 리스크를 고려한 위험조정 수익률의 평가 비중을 1.5배로 늘리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KPI의 내부통제 항목 비중을 13%에서 18%로 상향 조정했고, 신한은행도 5%인 내부통제 비중을 올 하반기부터 늘리기로 했다.
직원 상시감시체계와 처벌 방안도 강화됐다. 외환은행은 내부통제점검 태스크포스팀(TFT)을 신설했다. TFT는 기업구조조정, 여신관리 강화, 고객정보보호 관리 업무 등 내부통제 취약점에 대한 점검을 주관한다.
특히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기존에 실시하던 내부통제협의회를 확대 개편해 직접 이끌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직원 계좌에서 1000만원 이상이 드나들면 감시체계를 가동키로 했다.
국민은행은 금융사고 발생 시 사건의 성격 또는 사고 당사자의 직책과 관계없이 해당 직원을 관리하는 본부장급 이상 고위 임원에 대한 문책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도쿄지점 부당대출 사태를 계기로 해외점포에 대한 관리도 강화됐다. 기업은행은 해외점포 전결권을 일반 해외점포는 20~30%, 도쿄지점은 70%까지 줄이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해외점포 관리 태스크포스를 만들고, 신한은행은 내부통제 핵심 항목을 분기별로 특별점검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나은행은 해외점포의 전결권을 없앤 데 이어 해외에서 취급하는 대출에 대한 본부 심사를 강화할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전결권 한도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농협은행도 해외점포의 전결권을 회수하고, 현지의 외부 감사기관에 의뢰해 분기마다 점검받도록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