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현대판 음서제...로펌, 유명인사 자녀만 뽑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7-16 08: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변호사시험 체제로 바뀐 후 집안 배경이나 학벌을 위주로 채용하는 관행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판 음서제의 부활이라고 할정도로 일명 아버지 '빽'으로 취업한 이들이 늘어난 셈이다.

15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대다수의 대형 로펌들이 전·현직 고위 법조인, 정치인, 고위 관료, 대기업 CEO 등의 자녀를 대거 채용했다.

전 정권 법무비서관(판사 출신)을 지낸 A씨의 딸과 전 헌법재판관의 아들은 국내 최대 로펌인김앤장에, 지역 법원장까지 지낸 현직 법조인의 아들과 딸은 최근 법무법인 태평양에 들어갔다.

정치인 자녀들도 예외는 아니다. 법무법인 세종은 현역 시장의 아들을 채용했으며, 전 국가정보원장의 아들 역시 김앤장에서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특히 대기업 CEO 딸, 현직 행정부 차관을 친척으로 둔 변호사 등 변시 1~3기 중 이름을 대면 알만한 유력 인사의 자녀 20여명이 로펌에 포진해 있다.

검사를 뽑는 검찰에도 유력 인사의 자제들이 영입되 있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문제는 로펌의 태도다. 유력인사의 자녀 채용이 당연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유력 인사 자제 채용 경향은 변호사시험 성적이 비공개로 전환되면서 더욱 노골화됐다.

주요 로펌들은 변호사시험 합격증과 함께 학부 졸업증, 로스쿨 학점, 자격증, 실무 경력 증명서 등 서류심사를 거쳐 면접으로 채용을 확정한다. 서류전형은 객관적 지표가 없을 뿐 아니라 면접심사는 제시되는 기준도 불투명하다.

학벌에 치우친 채용도 눈에 띈다.

지난 3년 동안 10대 로펌에 신규 채용된 변호사 238명 중 64.2%가 이른바 SKY(서울·고려·연세대) 로스쿨 출신이다. 로펌들은 서울대 로스쿨 출신 87명(36.6%), 고려대와 연세대 출신 74명(31.1%)을 채용했다.

SKY 외 서울 주요 사립대 로스쿨 출신 61명 가운데 37명(60.6%), 지방 로스쿨 출신 13명 중 6명(46.1%)이 SKY 학부 출신인 점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로펌 신규채용자 대부분이 SKY 학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