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외환·국민·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운영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자체 모형을 개발해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았지만 이를 부실하게 운영해왔다.
이들 은행이 승인받은 관리시스템은 평소 은행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위험 요인들을 수치화해 더 큰 금융사고를 막는 데 활용된다.
상당수 글로벌 은행들은 대외신인도를 올리고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은행들은 감독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당시보다 운영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 인원을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에는 은행 공동으로 리스크 지표를 만들었으나 업데이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리스크에 대한 자가 진단 역시 형식적으로 이뤄졌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들이 전담 인력을 늘리고 전담 조직의 권한을 확대하는 등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철저히 운영하도록 강력히 지도하기로 했다. 또 감사실, 준법지원실과의 원활한 데이터 공유를 통해 내부통제를 단속하고 해외 영업점에 대해서도 본점에서 모니터링하도록 지도해 나가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