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상임고문단과 간담회를 시작으로 주말까지 선수별 모임을 비롯, 당내 그룹별로 릴레이 회의를 열어 비대위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 이를 토대로 4일 의원총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린다는 방침이다.
당내에서는 선거 패배 자성론과 함께 근본적 혁신 요구가 백가쟁명식으로 터져나오고 있다. 핵심쟁점은 누가 비대위원장을 맡느냐와 비대위의 성격 및 활동 기간, 전당대회 시기 등이다.
비대위원장직은 지도부 총사퇴로 유일하게 남은 선출직인 박영선 원내대표가 맡는 게 가장 자연스럽다는 의견이 현재로선 지배적이다. 그러나 정기국회를 함께 진두지휘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부담이 지나치게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김부겸 전 의원 등 '제3의 인물'도 거론되고 있다.
비대위의 성격·권한과 전대시기는 서로 맞물려 있다. '관리형'으로 임시지도부인 비대위의 활동기한을 최소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 당 혁신·개편은 전대에서 뽑히는 새 지도부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과 '혁신형 비대위'를 통해 쇄신작업을 궤도에 올려놓은 뒤 김한길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당초 임기였던 내년 3월을 즈음해 정기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의견이 맞부딪히고 있다.
이와 관련해 486인사인 이인영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나와 "조기 전대 논의가 본격화되면 자칫 소모적 정쟁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다"고 조기전대론을 반대했다.
우원식 전 최고위원은 교통방송 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에 출연, "비대위 체제가 너무 길어져도 당이 정상화되지 않는데, 정기국회 중간에 당내 문제를 논의하기는 어렵다"며 12월말∼내년 1월초 전대를 열자는 의견을 냈다.
당내에서는 해묵은 계파정치의 폐해를 혁파해야 할 제1과제로 꼽는 목소리가 많지만, 정작 비대위원장 및 비대위원 인선 과정에서부터 계파간 힘겨루기가 예상돼 '계파해소'가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한 회의론도 적지 않다. 지역위원장 선출 및 전대 룰, 차기 지도체제 등 '뜨거운 감자' 같은 현안들이 비대위의 손에 달려 있는 탓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