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하면 흔히들 남·녀할 것 없이 외롭고 쓸쓸하다는 말들을 입밖으로 자주 내뱉는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이른바 검은 그림자로 불리우는 '계절성 우울증' 때문이다.
흔히 계절성정동장애 또는 SAD라고도 한다. 계절적인 흐름을 타는 우울증의 일종이다. 가장 많은 형태는 겨울철 우울증으로 특히 가을과 겨울에 우울증상과 무기력증이 나타나는 등 증상이 악화되다가 봄과 여름이 되면 증상이 나아진다. 겨울철뿐 아니라 정기적으로 매년 여름이면 우울한 증상이 심해지고 가을이 오면 조금 나아지는 여름철 우울증도 있다. 환자의 83%는 여성이다.
겨울철 우울증의 경우 햇빛의 양과 일조시간의 부족이 에너지 부족과 활동량 저하, 슬픔, 과식, 과수면을 일으키는 생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여름철 우울증은 여름의 더위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의 한 부분인 시상하부는 외부의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계절성우울증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적합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겨울철 우울증의 경우에는 눈과 시상하부 사이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름철 우울증 환자의 경우에는 신체의 열에 대한 반응에 관여하는 신경해부학적인 경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치료는 매일 일정한 기간 동안 강한 광선에 노출시키는 광선요법이나 주위를 시원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약물치료로는 항우울제를 투여하며, 정신치료도 효과가 있다.
계절성 우울증을 접한 누리꾼들은 "요즘 외로운 이유가 계절성 우울증 때문이라고?" "계절성 우울등 때문에
매해 가을, 겨울나기가 힘들다" "계절성 우울증 꺼져버려" "계절성 우울증 꼭 치료하고 말 거야"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