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8/27/20140827100919835486.jpg)
‘주니어 공학기술교실’ 초등학교 4학년 특별활동 시간 교사로 참여한 A기업 직원이 배터리와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모형을 함께 제작하는 등 친환경 자동차 공학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차동형 산업부 산업기술정책관은 27일 한양대에서 열린 ‘주니어 공학기술교실’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정준양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윤종용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공학한림원 전회장), 이현순 공학한림원 부회장(두산 부회장) 등 관계자들과 산업기술문화 성과 및 확대를 위한 전망을 공유했다.
주니어 공학기술교실은 산업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엔지니어가 인근 초등학교를 직접 찾아 꿈나무의 공학적 지식을 쉽게 체험(재미있는 실험 조립용품 세트 등)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민·관 협력 프로그램이다.
이 교실은 지난 2004년 5개 기업의 참여로 첫발을 내딛은 산업기술문화의 새로운 모델이다. 현재 57개 기업(누적 7000여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대상 초등학교도 7개교에서 157개교(누적 25만명)로 늘어난 상황이다.
정부는 교육용 키트개발 및 기업자원봉사자 연수교육 지원, 산간지역 초등학교 조립용품 세트 등을 보급하고 참여기업들은 교육용 조립용품 세트 자체 구매 및 임직원의 일일교사 참여를 실시하고 있다.
차동형 정책관은 “산업기술 문화의 형성은 기업과 사회구성원의 의식변화와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라며 “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정부가 이를 뒷받침하는 주니어 공학기술교실이 민관협력의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