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본회의장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새누리당은 26일 본회의가 열려 법안 및 안건 처리가 이뤄지면 정기국회 개회 이후 한 달 가까이 허송세월을 보낸 것을 만회하고 '국회 정상화'의 물꼬가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새누리당은 26일 본회의에서 처리하려는 91건의 계류법안 가운데 절반 이상이 야당 의원이 발의한 법이라며 본회의 거부에 명분이 없다는 점을 부각시키며, '민생 본회의'라고 명명하고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는 여야가 함께 국정을 논하는 자리인 만큼 새누리당도 본회의 단독 개최는 가장 피하고 싶은 최후의 선택"이라면서도 "민생과 경제에 무한 책임을 지는 집권여당으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꼭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야당은 아무런 조건 없이 국회에 들어와야 하며, 이는 국민에 대한 도리이지 여당에 대한 시혜가 아니다"라면서 "야당이 세월호법 협상을 빌미로 등원을 거부한다는 것은 정당성을 찾을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군현 사무총장도 "내일 본회의는 정기국회 개시를 위한 마지막 데드라인"이라면서 "야당 의원들은 아무런 조건을 달지 말고 본회의에 출석해 행동하는 양심을 국민께 당당히 보여 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26일 오후 2시 본회의 소집 요구서'에 소속 의원 158명의 서명을 받아 정의화 국회의장을 만나 직접 전달했다.
김 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야당은 본회의를 연기하자고 하지만 이는 본회의를 무산시키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라면서 "내일 참석가능한 의원 155명 전원이 본회의장에 출석해서 의안을 처리할 준비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세월호 유가족과의 진전된 합의도 없이 무작정 국회일정을 연기하라는 것은 직무유기"라면서 "세월호특별법의 제정이 당장 어렵다면 최소한 예산심사와 국정감사만큼은 하도록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