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13일 미래부 국정감사에서 “휴대전화 단말기 가격 인하 정책을 별도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문병호 의원이 “국내 휴대전화 단말기 공급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라는 조사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또 단말기 출고가를 인하하려면 단말기시장의 독과점 구조를 깨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해 이미 단통법 후속 대책 마련에 착수했음을 시사했다.
시장지배 이동통신사업자의 요금제를 통제하는 요금인가제와 관련해서는 “시장지배사업자가 요금제를 정하면 다른 업체가 이를 따라해 ‘요금담합제’와 비슷하게 운용되는 측면이 있다”며 제도 유지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최 장관은 단통법의 효과에 대해 “이제 시행 13일째인 만큼 종합적인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면서 “단말기 및 통신가격 인하 등 근본적인 효과가 나오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문병호 의원이 “국내 휴대전화 단말기 공급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라는 조사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또 단말기 출고가를 인하하려면 단말기시장의 독과점 구조를 깨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해 이미 단통법 후속 대책 마련에 착수했음을 시사했다.
시장지배 이동통신사업자의 요금제를 통제하는 요금인가제와 관련해서는 “시장지배사업자가 요금제를 정하면 다른 업체가 이를 따라해 ‘요금담합제’와 비슷하게 운용되는 측면이 있다”며 제도 유지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