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국조오례의를 근간으로 군신화합, 만민화친, 여민동락 등 대동사회 구현을 목적으로 설행된 국가행사로서 국가운영의 한 축이었던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궁중연향은 단순히 잔치가 아니라 사회 구성원 간의 화합과 소통을 도모하는 중요한 국가 의례였다. 조선의 왕과 신하들은 이러한 궁중연향을 기억하고자 하였고, 그래서 탄생한 것인 궁중연향도다.
궁중연향도는 왕조국가 운영의 예치적 논리의 준거가 된 오례의 실행 결과를 도회한 의례미술로 예, 악, 충, 효 등 조선의 문화상을 담은 궁중기록화다.
이 책은 궁중연향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조선초부터 현종대까지의 선행시기, 숙종대, 영조 및 정조대, 순조대 및 고종대 등 다섯 시기로 나누어 분석하고, 조선의 화합과 소통을 도모하려 했던 궁중예술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