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0/28/20141028074022364389.jpg)
비정상회담 기미가요 논란[사진=JTBC방송화면캡처]
아주경제 전기연 기자 = '비정상회담'에서 기미가요가 배경음으로 사용돼 폐지요구 논란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기미가요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기미가요는 일본 천황의 시대가 영원하기를 염원하는 내용이 담긴 일본의 국가다.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기미가요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 사용으로 금지됐다가 1999년 다시 일본 국가로 법제화됐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우리 조상들에게 강제로 부르게 한 노래였으며, 현재는 군인도 아닌 극우단체 회원들이 군복을 차려입고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할 때 부르는 노래이기도 하다.
27일 방송된 JTBC '비정상회담'에서 일본대표 테라다 타쿠야 대신 나온 다케다 히로미츠가 등장하면서 기미가요가 나와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비정상회담 제작진은 페이스북을 통해 "27일 '비정상회담' 17회 방송 중 일일 비정상 일본 대표의 등장 배경음악으로 부적절한 음원이 사용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이는 음악 작업 중 세심히 확인하지 못한 제작진의 실수이며 향후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겠다"고 사과글을 올렸지만 논란을 식지 않고 있다.
한편, 비정상회담 기미가요 등장에 네티즌들은 "기미가요가 웬 말이냐. 개념 없네" "비정상회담에서 기미가요가? 제작진 아무 생각 없는 것인가" "기미가요에 민감한 것 알면서 생각 없이 배경음악으로 깔다니… 비정상회담 제작진 실망이네" "기미가요에 내 귀를 의심했다" 등 반응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