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람인]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직장인들이 평소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유형은 '영혼 없는 리액션'으로 확인됐다.
28일 사람인이 직장인 1175명을 대상으로 '회사에서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과도한 칭찬이나 이해되지 않는 상황도 공감하는 척하는 '맞장구형'(18%)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지시한 업무가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상사와 선배의 물음에 '거의 다 했습니다' 등이라고 답하는 '임시방편형'(16.3%)이었다.
'진짜 회사 그만두고 만다' 등 감정형(15.2%)과 '밥 한번 먹어야 하는데' 등 빈말형(10.6%)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직급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사원급은 '맞장구형'(21.5%)이, 대리급은 '임시방편형'(16.8%)이 많았다. 과장급은 '감정형'(20.3%), 부장 및 임원급은 '빈말형'(각각 20.8%, 22.2%)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거짓말을 하는 이유로는 '대화에 장단을 맞추기 위해서'(30.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거짓말을 하는 대상은 주로 '상사'(57%)나 '비슷한 직급 동료'(23%)였고, 절반 이상인 53.5%가 '하루 중 필요 시 한두 번은 한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