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책은 △산불방지 근무태세 및 공조체제 확립을 위해 부산시 및 구․군, 부산시설공단 등 20개소에 산불방지대책본부 설치 △입산통제구역 지정 12,699.5ha, (산림면적 35,737ha의 35.5%) 및 등산로 폐쇄 161개소 263.5km (등산로 432개소 705.6km의 37.3%) △산불감시원 737명 배치 (전문진화대 115, 일반감시원 및 공공근로 등 622) △산불진화장비 확보․배치 (헬기3대, 산불무인 감시카메라 34대, 진화차량 37대 등 27,249점) 등을 담고 있다.
아울러, 올해 산불조심기간 동안 입산통제구역 및 폐쇄된 등산로 등 산불취약지에 산불감시초소 및 산불감시원을 집중 배치해 인화물질 반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소지자에 대해서는 입산금지 조치, 과태료 부과 등을 강력히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 12월 말 까지 산림 내 또는 인접지 산불요인 사전제거사업 대상지를 파악해 풀베기 등 인화물질 제거사업을 철저히 시행할 예정이다.
부산시 허영수 푸른산림과장은 “산림이 울창해지고 낙엽 등 가연물질 축적과 가을철 건조한 기후로 인해 산불발생이 우려되고 있으며, 최근 걷기열풍 확산으로 입산객이 계속 증가 할 것으로 보여 입산자 실화 등에 따른 산불발생 위험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라면서, “산불 발생시 인력으로는 진화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므로, 조기진화를 위한 소방헬기 투입을 위해서는 산을 찾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산불예방에 많은 협조를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최근 5년간(2009~2013) 부산지역 내 78건의 산불발생을 분석한 결과 △입산자실화 45건(58%) △논․밭두렁 소각 11건(14%) △기타 어린이 불장난 등 22건(28%)으로 나타났다. 또한, 봄철(2~4월)에 집중적으로 산불이 발생(34건, 44%)하고 있으며, 산행인구 증가에 따른 입산자실화에 의한 산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