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구조조정 대상기업은 125개사(C등급 54개, D등급 71개)이다.
지난해보다 11.6%(13개) 증가한 것으로, 경기회복 지연 등의 영향으로 기업의 경영실적이 악화되고 채권은행들의 적극적인 구조조정 의지가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등급별로는 C등급 기업수는 지난해와 같지만, D등급 기업이 무려 13개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76개로 지난해보다 43.4%(23개) 증가한 반면 비제조업은 49개로 16.9%(10개) 감소했다.
하지만 오락 및 레저서비스업에선 무려 18개 감소했으며, 이는 지난해 18개 골프장의 대규모 구조조정에 따른 것이다. 9월말 현재 구조조정대상 선정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총 1조4069억원이다.
또 125개 업체의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로 은행권은 약 4854억원의 충당금 적립이 필요하게 됐다. 은행들은 9월말 현재 2328억원을 적립했으며, 앞으로 2526억원을 추가 적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6월말 기준 은행권의 BIS비율은 14.18%에서 0.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금감원은 채권은행들이 B등급 32개사에 대해 패스트트랙 프로그램을 적용해 신규자금 등 금융지원을 지원하도록 할 계획이다. C등급에 대해선 워크아웃을 조속히 추진토록 지도하고, D등급의 경우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유도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B등급, C등급 기업의 경우 중기청의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을 활용해 정상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신용위험평가 직후 정상평가 기업이 회생절차를 신청하거나 합리적 이유 없이 워크아웃이 중단되면 실태점검 등을 통해 신용위험평가 및 워크아웃기업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을 철저히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