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20/20141120101656232993.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한국은행 본관 15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국은행-IMF 아태사무소 공동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실물과 금융,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부문 간 불균형 해소에 노력하고 부책 감축과 계층 간 소득 불균형 완화를 위해서도 힘써야 한다"고 20일 밝혔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한은 본관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와 함께 개최한 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경제 불균형의 근본적인 완화가 담보되지 않으면 성장세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며 대내 불균형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부채 감축과 소득불균형 완화를 거론했다.
그는 경상수지 적자국과 흑자국 간 대외 불균형 문제와 관련해서는 "금융위기 이후 외견상 다소 완화됐지만 이는 적자국의 수요 부진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세계 경제의 회복이 본격화하면 대외 불균형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외 불균형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경상수지 흑자국은 내수 기반을 확충하고 적자국은 제조업 육성을 통해 수출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 총재는 "최근 각국이 경기대응 수단으로 시행하는 완화적 거시정책은 불균형 해결을 위한 궁극적 해답이 아니고 구조개혁을 추진할 여건을 조성하려는 노력으로 이해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 차원에서 협력하는 것도 긴요할 것"이라며 최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브리즈번 액션플랜'으로 제시된 종합적 성장전략도 불균형 해소를 위한 처방책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