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장성 못 넘은 한국금융] 뒷걸음질 치는 증권산업 대 중국 수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25 06:1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ㆍ류태웅 기자 = 증권산업 중국 수출이 되레 뒷걸음질을 치고 있다. 삼성전자나 현대차가 고전하고 있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얘기다. 제대로 걸음마를 떼기도 전에 짐을 싸 철수하는 상황이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와 운용사는 9월 말 현재 중국 본토에 모두 19개 현지법인ㆍ사무소를 두고 있다. 전년 말 29개에 비해 1년도 안 돼 10개가 줄었다. 홍콩도 같은 기간 국내 회사 수가 총 18곳으로 제자리에 머물렀다.

재벌에 속한 증권사나 운용사 영업수익 가운데 해외 비중도 사실상 0%에 가깝다.

삼성증권이 6월 초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한 기업현황을 보면 2013년 영업수익(매출) 2조867억원을 모두 국내에서 올렸다. 한화투자증권도 마찬가지로 영업수익 7756억원을 내수로만 채웠다. 그나마 미래에셋증권이 영업수익(1조8674억원) 가운데 1.20%(224억원)를 해외에서 올린 게 손에 꼽히는 전부다.

증권업계는 실적부진을 이유로 해외점포를 줄줄이 정리하고 있다.

대우증권이 중국 베이징에 두고 있는 현지법인은 2013년 3억원대 손실을 기록했고, 올해 1~3분기에도 6억원에 맞먹는 적자가 났다. 미래에셋증권도 2013년 중국 법인에서 1억원 미만 손실이 발생했으며, 올해 들어서는 손익집계조차 되지 않는 개점휴업 상태에 빠졌다.

어제 오늘 일도 아니다. 금감원 집계를 보면 국내 증권사가 중국에서 기록한 순손실은 2010년 100만 달러, 이듬해 290만 달러, 2012년 90만 달러로 해마다 적자행진이 이어졌다.

중국이 폐쇄적인 자본시장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현지 당국은 자산운용사에 대해서만 100% 현지법인 설립을 허용하고 있다. 증권사는 합자로만 세울 수 있고, 49% 이상 지분을 취득할 수 없다. 경영권 없이 돈만 대라는 것이다. 우리 증권업계가 대부분 자문사 형태로 중국에 나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지화 핵심인 소매영업은 자본력에서 밀려 쉽지 않다. 중국에 있는 우리 기업이나 외국 회사를 상대로 법인영업을 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자본시장연구원 자료를 보면 글로벌 투자은행(IB)은 전체 이익 가운데 최대 60%를 해외에서 올리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1%를 넘기는 회사를 찾기도 쉽지 않다.

조용준 하나대투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ㆍ중 양국은 교역 규모가 크고, 이해관계도 비슷해 적극적으로 시장을 열 필요가 있다"며 "지점영업 제한 같은 규제가 풀린다면 투자에 나서는 회사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