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올해 스마트 공장 500개 보급을 골자로한 ‘제조업 혁신 3.0 종합대책’을 이달 중 마련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스마트 공장 500개 보금 외에 차량·조선·공정·건설·섬유·국방·농수산·미래생활 등 스마트공정 8대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도 포함돼 있다.
스마트 공장은 박근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제조업 혁신 시스템이다. 제조공정 제조 공정 단계마다 스마트 센서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자동으로 작업 공정 모니터링을 하는 신개념 공장이다.
이들 국가들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중요성에 주목하고 새로운 제조업 시스템 개발과 대안으로 스마트 공장 보급 확대에 나서는 상황이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인 지멘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화율을 실현하며 스마트 공장의 롤 모델로 자리 잡았다.
산업자동화설비 핵심부품인 PLC 공장은 자동화율 75%를 달성하며 비용절감과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 시켰다. 불량품도 100만개 중 12개가 나올 정도로 수율도 향상됐다. 에너지는 기존공장 대비 약 30%를 절감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 공장에 대한 지원시스템이 가동 중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현장진단, 솔루션 설치 및 자동화 장비구입 등의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업체당 4000만원 내외를 신청할 수 있다.
이처럼 정부가 스마트 공장 보급 확대에 나서는 것은 고비용 생산구조와 해외생산 증가로 인한 국내 생산기반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주요 품목 해외 생산 비중은 TV 93%, 스마트폰 74.1%, 자동차 44.3%로 대부분 해외공장에서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석유화학·철강·조선 등 일부산업 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그동안 유지하던 제조업의 시스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제조업은 1세대 격인 경공업 중심 수입대체형에서 조립·장치산업의 추격형 시스템인 2세대를 거쳤다”며 “글로벌 사회에서 우리 제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융합 신산업 형태의 선도형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우선 올해 500개의 스마트 공장 보급을 시작으로 오는 2020년까지 1만개 공장을 스마트화 시키겠다는 전략이다. IT·SW,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해 생산 전과정을 지능화·최적화한 ‘낭비 제로’ 공장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제조업 3.0에 대한 필요성을 지난해부터 전파하고 있다. 제조업이 국부를 생산하는 원천이자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부분을 인식하고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 장관은 “우선 스마트 공장을 2020년까지 1만개 만들고, 3D프린팅 생산기반을 확충하겠다”며 “IT·소프트웨어·사물인터넷 등으로 전 생산과정을 지능화·최적화한 제조업 혁신전략을 구사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