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30/20150430180442355960.jpg)
4·29 재·보궐선거에서 '0대 4'라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30일 '정면돌파' 의지를 내보이며 수습을 시도했다. [사진제공=새정치민주연합]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4·29 재·보궐선거에서 '0대 4'라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30일 '정면돌파' 의지를 내보이며 수습을 시도했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해 "분노한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송구스럽다", "제가 부족했다"고 사과했다.
문 대표는 또 "누구를 탓할 것 없이 저희의 부족함을 깊이 성찰하고 절체절명의 마음으로 다시 거듭나겠다"며 "길게 보면서 더 크게 개혁하고 더 크게 통합하겠다. 더 강하고 더 유능한 정당으로 국민의 삶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새누리당을 향해서는 "민심을 호도하면서 불법 대선 자금과 관련한 부정부패를 은폐하거나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가로막으려 한다면 우리 당은 야당답게 더 강력하게 단호하게 맞서 싸우겠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이러한 문 대표의 정면돌파 시도가 역효과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 대표가 선거 참패 직후 반성과 사과의 뜻을 표하긴 했지만, 처절한 패인 분석과 근본적인 성찰 없이 선언적 의미에 그쳐 당내 비노(비노무현) 진영을 중심으로 반발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문 대표가 참패를 불러온 야권 분열의 근본 원인인 친노 패권주의를 회피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문 대표의 이날 입장 표명에는) 본인이 뭘 잘못했는지에 대해 너무 원론적이고 개괄적으로 말했다"며 "문 대표의 무기인 진실성과 신뢰성을 담아낸 담화문이 아니었다. 결국 본인 탓이 아니라 남 탓을 하고 있고, (입장 표명만 보면) 앞으로도 기본적인 기조가 변할 게 없어 보인다"고 비판했다.
홍 소장은 "친노와 비노가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두고 대표 출마를 만류했지만, 문 대표가 고집을 꺾지 않고 출마해 비노와의 대립 전선을 만들었다"면서 "(패배의) 많은 원인이 본인에게 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 절박한 인식이 없다"고 꼬집었다.
당내에서 비노(비노무현) 세력이 친노(친노무현) 진영에 책임론을 강력하게 제기한다면 계파 갈등이 또다시 불거질 수도 있다. 재보선 참패 결과가 당내 계파 갈등으로 비화될 경우 '문재인 대표 체제'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이날 문 대표는 "선거 결과에 굴하지 않고 국민과 함께 가겠다"고 했지만, 가시밭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