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은 추위에 강하고 수확이 빨라 재배 면적이 해마다 늘어나고 종자 수요량도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육성 호밀 종자 생산은 거의 전무 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마다 7,000~8,000t 정도의 종자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장수군은 2013년부터 현재까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과 공동으로 국내 육성품종인 곡우호밀 채종적지 선정 연구를 추진해오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8/20150618091347100705.jpg)
▲장수군이 양질의 조사료 생산을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과 공동으로 사료용 국내호밀 자체 생산 체계를 마련했다 [사진제공=장수군]
군은 사료용 호밀의 적정 파종량과 시비량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역에 맞는 채종기술을 확립하고 호밀 채종연구 성과를 통해 장수지역에 양질의 조사료를 공급하고 작부체계 연구를 실시, 축산업 경쟁력을 강화시켜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