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항공 B737-800 항공기[사진=제주항공]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제주항공이 올 상반기 역대 최고의 영업실적과 여객 수송실적을 기록했다. 메르스로 주춤했던 여객수송에도 불구하고 저유가 기조의 외부적인 요인과 공격적인 항공기 도입, 신규노선 창출 등 내부적인 요인에 있어 시너지가 발휘된 덕분이다.
제주항공은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을 잠정집계한 결과 2869억원의 매출과 288억원의 영업이익을 실현했다고 22일 밝혔다.
매출액은 지난해 상반기 2344억원보다 22%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0억원보다 851% 증가했다. 경상이익은 323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5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국내선 929억원(32%), 국제선 1743억원(61%), 기타 197억원(7%) 등의 분포를 보였다.
제주항공 측은 “올 상반기 국적 LCC 중에서는 처음으로 항공기 보유대수 20대를 넘어서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으로써 안정적인 원가 절감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계속되는 저유가 기조가 큰 폭의 영업이익 신장을 이루는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수송 여객수는 올 상반기 동안 326만여명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선이 30%, 국제선이 25% 증가했다.
국내선의 경우 기단 확대와 증편을 통해 수송능력을 크게 키웠다. 이에 올 상반기 제주항공의 국내선 수송분담률은 국적 7개 항공사 중 3번째로 높은 15.0%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3.1%보다 1.9%포인트 증가했다. 2위 아시아나항공과의 격차는 지난해 8.6%포인트에서 4.5%포인트 차로 좁혔으며, 4위 에어부산과의 차이는 지난해 1.0%포인트에서 올해 3.4%포인트로 벌렸다.
국제선은 올해 초 부산을 기점으로 미국령 괌과 일본 오사카, 후쿠오카, 대만 타이베이 노선을 새로 개설하는 등 공격적인 신규노선 확대가 주효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지난 6월 메르스 확산에 따른 여객 감소와 일부 국제선 감편 등의 악재가 아쉽지만, LCC 중 최대 규모의 기단을 통해 다양한 노선 구성으로 위험을 분산시키고, 구조적인 원가 절감으로 올 상반기를 잘 마무리한 것으로 보여진다”며 “연중 LCC 수요가 가장 많은 이번 3분기에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연내 계획하고 있는 상장을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항공은 현재 국적 LCC 가운데 가장 많은 20대의 보잉 737-800(좌석수 186~189석) 기종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올 연말까지 항공기를 22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