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29/20150729162420633960.jpg)
[사진=경기도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는 29일 도청 회의실에서 ‘메르스 현장, 100인에게 듣는다’ 토론회를 열고, 지난 70여 일간의 대응과정을 돌아보고 의료진을 비롯해 자가격리자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남경필 지사를 비롯해 메르스 민관네트워크 참여병원 등 전문가 완치자 자가격리 경험자 구급대원 자원봉사자 등 모두 100여 명이 참석했다.
남 지사는 토론회에 앞서 “메르스 사태 초기에 우리는 허둥대고 협업을 제대로 하지 못했으며, 정보도 공유하지 못했고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아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고 토로하며 “경기도에서 시작한 새로운 협업과 소통 스탠더드가 대한민국의 스탠더드가 되면서 메르스를 하나하나 극복하기 시작했는데,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어떤 질병이 오더라도 이겨낼 수 있는 시스템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29/20150729162837920706.jpg)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은 “이번 메르스 사태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본질과 허상을 일깨워줬으며, 향후 10년 뒤에 돌이켜보면 우리나라 보건의료계는 메르스 이전과 이후로 나눠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감염병뿐 아니라 재난 및 생화확적 위기 대응 등 포괄적인 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했다.
이기병 평택성모병원장은 “처음 2주 동안은 보호장비도 없이 무방비로 환자를 봤는데, 이번 경험으로 초기대응 컨트롤타워가 중요하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꼈다.”며 “의료진에 대한 교육과 훈련 등 실질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민관네트워크를 통해 수원병원에 파견돼 메르스 치료를 도왔던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람 간 전파되는 질병은 공공의 문제, 보건안보의 문제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신뢰와 소통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번 경기도 대응 과정은 민간의료와 공공의료가 경쟁적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으며, 민간과 공공의 역할을 더욱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도는 이날 토론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현재 준비 중인 감염병관리대책에 적극 반영해, 8월 초 ‘제2의 메르스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감염병관리대책을 발표한다. 대책에는 도가 메르스 사태를 성공적으로 수습하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민관 네트워크와, 수원병원의 중점치료센터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과 부족했던 역학조사관 확충, 정보시스템을 보완하는 방안을 담기로 했다.
남경필 지사는 토론회를 마무리하며 “끝이 아니라 시작이며, 시작의 길에서 오늘 토론회에서 해주신 생생한 목소리는 새로운 스탠더드를 만드는 데에 귀중하게 쓰일 것.”이라며 “지금까지와 똑같은 열정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데에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