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오는 1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가운데 8월 금리는 현 1.50%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내부 이견으로 9월 금리인상설이 희석되기는 했지만, 연내 미국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황에서 금통위의 통화정책이 반대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또 11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문제도 골칫거리인데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효과도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다.
9일 전문가들은 이번 한은 금통위에서 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준금리가 사상최저치인데다 미국이 당장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자본유출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는 점이 부담이라는 이유에서다.
변양규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정책연구실장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부작용에 대응할 대책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통위가 금리를 추가로 내리기는 무리다"고 진단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거시경제실장도 "이미 기준금리가 최저치인 상황이고, 미국 분위기도 봐야하기 때문에 이달에는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가 가계부채 종합관리방안을 발표할 만큼, 심각해진 가계부채 문제도 부담이다. 가계부채 규모는 이미 1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미국 연내에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릴 운신의 폭은 더욱 좁아지게 된다.
반론도 있다. 메르스 충격으로 2분기 성장률이 0.3%까지 떨어진 가운데 3분기에도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형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 통화정책은 '경기부양'이 우선인만큼 필요하다면 기준금리 추가 인하 등 통화정책이 활용될 공산이 크다"고 주장했다. 수출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통화 가치 안정보다 경기회복에 집중하는 통화정책을 펼칠 것이란 설명이다.
BNP파리바와 HSBC는 "수출 부진 등이 지속될 경우 한은이 전망했던 올해 성장률인 2.8%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며 "8~9월 중 금리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같은 의견에 대해 한은의 한 관계자는 "성장률 전망치는 말그대로 전망치일 뿐, 목표치가 아니다"며 "국내외 경기여건 변화에 따라 기준금리를 정하는 것이지, 시장의 표현대로 '성장률을 끼워맞추기 위한' 통화정책을 펼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