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남북 고위급 접촉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여세를 몰아 새로운 ‘남북 산업협력’의 길을 모색하자는 주장이 나온다. 남북 산업협력의 연결고리인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남북 산학연이 경제통일의 첫 단추로 제시되고 있다.
25일 일부 정치권과 경제전문가들은 이날 남북 고위급 접촉의 극적 타결 소식을 접하면서 경제통일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경제통일을 위한 첫 걸음은 한반도의 새로운 미래로 현재 제조업 중심의 개성공단을 산학연 집적인 첨단기술의 연구단지로 활용하는 안이다.
더 나아가 개성공단 방식의 남북 산업협력을 통한 남북한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활용 수단도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이를 통해 분쟁을 평화로, 평화를 경제발전으로 삼는 트라이엥글 체재를 갖출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한다.
최근 산업연구원이 공개한 ‘산업경제분석’에도 이와 비슷한 ‘사이언스파크(과학단지)’ 설립을 제시하고 있다. 사이언스파크는 대학이나 연구소가 중심이 되는 등 지역 인근에 설립되는 산학연 집적지로 꼽힌다.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고도의 첨단기술을 지역산업에 이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개성공단을 위주로 한 생산 중심의 남북 간 산업협력을 기술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는 남북 공동 사이언스파크가 조성될 경우에는 경색된 남북 관계를 진전시킬 수 있다는 논리다.
특히 경제통일을 앞당길 수 있고 통일에 대비할 수 있는 대응력도 갖춰지는 등 일석이조의 효용성이 메리트다. 더욱이 남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강점 기술은 서로 간의 기술협력에 따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벤치마킹 성공사례를 보면 독일의 ‘아들러스호프 사이언스파크’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독일 통일 직후인 1991년 베를린의 구동독 지역에 조성된 아들러스호프는 실직 위기에 처한 5600명의 구동독의 과학기술자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해왔다.
과학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25년간의 지역경제 발전은 시사한 바가 크다.
아울러 북한 광물자원과 관련해 지질학 공동 산학연 연구개발에 대한 체제 정비도 필요하다.
현재 북한의 광물자원 부존량은 북한 경제 회생이 가능한 규모로 평가되고 있다. 마그네사이트·철·흑연 등 세계 10위권 이내 매장량 보유가 추정되는 곳이 북한인 것.
북한 자원개발 산업은 성장잠재력이 크지만 열악한 전력사정 등 산업 인프라가 뒤쳐진 구조인 점도 남북 산학연을 통한 기술 전수 등 협력 가능성도 요구되고 있다.
이 밖에도 남북 산학연의 이점은 다가올 통일에 대비한 북한의 인프라 수요를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북한 경제연구원은 “남한의 한정된 자원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경제통일이 시급하나 현실적 걸림돌도 많은 게 사실”이라며 “향후 발전적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남북 간 산학연 협력을 통한 교류와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남북 산학연 단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홍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통일을 전후해 남북한 사이언스파크를 조성할 경우 남북한 산학연의 기술협력에 의한 시너지 제고, 고급인력의 활용 극대화, 기술 중심의 협력으로 전환 가능하다”며 “사이언스파크를 지렛대로 자연스런 국내외 투자유치를 유도할 수 있는 등 기술협력 및 긴장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