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무역구조 급변…소비재 등 신규수요 공략 기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9-15 07: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불안한 중국…"위기·기회 상존"

  • "서비스 산업 등 기회로 활용해야"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서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선도 시시각각 변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정책대응 완성도를 높여야 변수를 줄일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실물경제는 대체로 예상 경로에 따라 둔화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리스크와 함께 질적 변화에 따르는 기회 요인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중국경제는 개혁개방 이후 34년 동안 연평균 9.7% 성장했지만 2012~2014년 중 7.3~7.7% 성장에 그치고, 올해 상반기에는 7.0%로 추락하면서 뉴노멀 시대에 진입했다.

생산설비 과잉, 지방정부 부채, 부동산경기 조정, 금융리스크 심화 등이 경제발전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주변 국가들의 경제구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중국 GDP성장률이 2016~2020년 6%대, 2021~2030년 5%대로 둔화되는 가운데 공급측면에서 ‘요소투입형 → 기술주도형’ 수요측면에서 ‘투자 → 소비주도형’ 산업측면에서 ‘제조업 → 서비스업 주도형’ 성장을 지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경제와 밀접한 관계에 놓인 한국은 특히 수출부분에서 중국경제 변화에 따른 기민한 대응이 절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는 중국의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 간 연계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수출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져 정부의 정책대응과 관련 연구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평가했다.

수출의 경우 수출용 중간재 수입 위축, 중국 중간재 수입 대체 등으로 인해 여건 악화가 불가피하다. 그동안 중국 가공무역 주력기간에 한국은 중국 수출품 중간재 공급을 통해 수출호황기를 누려 왔기 때문에 방어가 가능했지만 최근 탈동조화가 뚜렷해졌다.

중국 수입에서 가공무역 비중은 2005년 41.5%에서 지난해 26.8%으로 급락한 반면 일반무역(내수용) 수입 비중은 2005년 42.4%에서 지난해 56.6%로 확대됐다.

그러나 한국은 중국 무역구조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대중 수출에서 가공무역(2014년 기준 51.9%)이 일반무역(33.4%) 비중을 훨씬 상회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존시장 확대 및 신규수요 공략을 위한 분야별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소비재시장은 중국인 소득수준 향상으로 연평균 35%씩 성장하고 있는 소비재수입 확대에 대응해 한·중 FTA를 소비재 및 소비재용 중간재 수출확대의 계기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 신산업 개발은 중국정부가 에너지절약‧ 환경친화형 녹색성장을 중시함에 따라 관련 설비, 소재·부품 수요확대에 대응하고 양국간 온라인 상거래를 활성화해 상품 위주에서 토탈서비스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모색하는 방안을 내놨다.

서비스산업 진출의 경우 소득 증대, 고령화, 서비스산업 중심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해 통신· 교통· 관광, 의료·헬스케어·양로, 교육·콘텐츠 등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

KIEP 관계자는 "향후 중국의 내수 확대, 도시화와 서부 개발에 따른 수요창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신시장 개발, 지역발전전략(징진지 프로젝트, 일대일로 등)에 의한 지역시장 확대 등은 기회"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소비재시장 공략, 신산업 개발, 의료·헬스케어 등 지식기반서비스 산업 진출, 중소도시 공략, 인프라투자 활성화도 새로운 중국시장의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