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호화 사치술의 대명사인 ‘우량예(五粮液)’는 9월 초 주력 생산제품인 52도짜리 우량예 500㎖ 출고가를 기존의 609위안에서 659위안(약 12만3500원)으로 50위안 인상했다.
'중국의 국주(國酒)'로 불리는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 이하 마오타이)’도 최근 자사 주력제품인 53도짜리 500㎖ ‘페이톈(飛天)마오타이’ 소매가를 기존의 1099위안에서 1199위안으로 100위안 슬그머니 올렸다.
하지만 섣부른 가격 인상의 결과는 참담했다. 소비자들은 바이주를 외면했다. “한 달에 마오타이주 한 병도 못 팔았다”는 도매상의 한탄까지 흘러나왔다. [관련기사 링크: 한국인이 즐겨찾는 바이주 ]
▲파란만장한 바이주 운명
한때 중국에선 "명절이 오면 중국 바이주(白酒) 가격, 판매량도 오른다"는 불문율이 있었다. 설, 추석, 단오, 노동절 등 연휴 때만 되면 가격을 올리면서 한 해동안 바이주 가격이 두 배로 뛰어 소비자들의 욕을 먹던 시절이었다. 그럼에도 바이주는 불티나게 팔렸다. 물량이 없어 도매상들이 미리 현금 결제하고 제품을 확보해야 했을 정도였다.
시장도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2004년 312만t에 달했던 중국 바이주 생산량은 2013년 1226만t으로 네 배 가까이 급증했다.
하지만 2012년 말 시진핑(習近平) 지도부 출범 이후 상황은 180도 반전됐다. 부패와의 전쟁에서 마오타이를 비롯한 고급 바이주에 '부패 아이콘'이란 꼬리표가 붙으면서 역풍을 맞은 것. 공직사회에 ‘바이주 금지령’이 떨어지면서 사람들은 바이주를 외면했다. 매출은 급감했고, 주가는 폭락하는 등 기나긴 엄동설한을 보냈다.
업체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바이주 가격을 내려야만 했다. 한때 2000위안까지 치솟았던 마오타이 한 병 가격은 900위안 대까지 낮아졌다. 중국 인터넷매체 펑파이에 따르면 중국을 대표하는 11개 브랜드 바이주 가격은 지난 2012년 이후 평균 11% 내렸다.
▲자존심 버린 바이주 기업들
날개 없이 추락하던 바이주 업체들의 부활 키워드는 ‘서민화’다. 고관들이 흥청망청 마시던 술에서 평민들의 술로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자존심을 버린 것. 각 업체마다 제품 가격을 내리고 300~500위안 대 중저가 제품군도 확대했다.
이에 바이주 기업들의 실적도 서서히 호전되고 있는 추세다. 올 상반기 전체 18개 바이주 상장사의 영업수익은 600억 위안(약 11조원)에 육박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5% 늘었다. 지난 2년간 중국 바이주 업계가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선방한 결과였다.
올 상반기 마오타이의 영업수익이 157억7900만 위안(약 2조94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17% 상승했다. 이에 따른 순익도 9% 늘었다. 지난 해 전체 영업수익 증가율이 3.69%에 그쳤던 것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수이징팡(水井坊)도 올 상반기 영업수익이 174.10% 늘어난 3억8884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5018만 위안의 순익을 기록, 수 년간 기록한 이어온 적자행진을 간신히 멈췄다. 같은 기간 우량예는 영업수익이 3.83% 하락하며 순익이 17%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감소폭을 줄였다.
바이주 시장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긴 하지만 이번 중추절 시장 분위기에서 보여지듯 예전과 같은 바이주 시장의 폭발적 성장세는 다시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 뉴욕 1호 바이주 전문 바…글로벌화 박차
최근 중국 바이주 업체들은 더 이상 중국 대륙에 갇혀있는 ‘우물 안 개구리’ 신세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바이주는 술의 색깔이 없어 투명한 술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보리·수수·밀·옥수수 등 곡물을 이용해 발효주를 빚고 여기에 열을 가해 술을 뽑아내는 증류주다. 위스키·럼주·보드카 등과 함께 세계 6대 증류주 중 하나다.
지난 해 바이주 생산량은 전세계 증류주 생산량에서 37.6%를 차지했다. 하지만 전 세계 주류 시장 판매 점유율은 0.8%에 그치고 있다. 역으로 말하면 그만큼 바이주의 향후 글로벌화 잠재력이 무궁무진함을 보여준다.
이미 해외 주류 업체들은 중국 바이주 시장의 잠재력을 알아봤다. '조니워커'로 유명한 디아지오는 수이징팡을 2011년 인수하는 데 성공했다.
루이비통모헤네시(LVMH)도 2011년 중국 8대 명주 중 하나인 젠난춘(劍南春) 계열사 지분 55%를 인했다. '잭 다니엘'로 유명한 미국 양주업계 거물인 브라운포맨도 우량예와 지난 해부터 시장 마케팅이나 신제품 개발 등 방면에서 서로 협력 중이다.
바이주는 점차 세계적으로 인지도를 넓히며 위스키·럼주·보드카 등 세계적인 증류주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최근 세계적인 와인품평회 ‘콩쿠르 몽디알 드 브뤼셀’이 개최하는 세계증류주대회 '스피릿 셀렉션'에 바이주는 처음으로 독립 경쟁 심사종목에 포함됐다.
지난 3월엔 미국 뉴욕 도심에 바이주 전문 바 ‘루모스(Lumos)’가 오픈했다. 뉴욕 최초의 바이주 전문 바로 이름을 알리며 현지 언론에도 오르내렸다. 이곳엔 서양인의 입맛에 맞춰 60종이 넘는 바이주 칵테일도 선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바이주의 글로벌화를 위해 가장 먼저 넘어야 할 장벽으로 향(香)을 꼽는다. 간장, 블루치즈 냄새처럼 꼬리한 바이주 특유의 짙은 향을 꺼려하는 외국인이 많기 때문. 게다가 50%를 넘는 알코올 농도도 부담스럽다. 마오타이주가 375㎖ 병당 100달러가 넘는 등 유명 위스키 등과 비교해 비싼 가격도 단점으로 꼽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