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의 매운맛 내는 캡사이신, 파킨슨병 치료 효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1-08 11: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왼쪽부터)▲정상의 중뇌-흑질에서 도파민신경세포(DA neuron)와 성상교세포(astrocyte). ▲파킨슨병(PD-related neuropathology) 중뇌-흑질에서 사멸하는 도파민신경세포와 통증수용체를 발현하고 신경영양인자(NTF)들을 내생발현하는 활성화된 성상교세포(reactive astrocyte). ▲파킨슨병(PD-related neuropathology) 중뇌-흑질의 성상교세포(reactive astrocyte)에서 통증수용체 작용제(CAP)로 활성화되는 통증수용체(TRPV1 activation by CAP)가 신경영양인자의 내생발현증가를 유도해 사멸하는 도파민신경세포 보호 [그림=한국연구재단 제공]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이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파괴돼 도파민이 부족해져서 생기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행동이 느려지고 손·발이 떨리거나 몸이 굳는 등 신체적인 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우울증, 치매와 같은 정신적인 증상도 겪게 된다.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기존 치료법은 도파민신경세포의 사멸 속도를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수준이다.

진병관 경희대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중뇌-흑질에서 통증을 전달하는 통증수용체(TRPV1)와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씨엔티에프(CNTF·신경영양인자 중 하나)가 성상교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많이 발현되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성상교세포는 뇌와 척수에 있으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이어 파킨슨병 동물모델 성상교세포에서 통증수용체 발현을 억제하자 CNTF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 두 물질이 서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파킨슨병 환자의 사후 뇌 조직을 분석해보니 성상교세포에서 통증수용체와 CNTF의 발현이 증가해 있었고 인간 파킨슨병 환자 뇌에도 같은 시스템이 존재함을 연구팀은 확인했다. 이후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통증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캡사이신으로 CNTF 발현 증가를 유도하자 도파민신경세포가 보호되고 운동기능이 회복되는 것을 밝혀냈다. 캡사이신 성분이 뇌 안에서 신경영양인자를 발현해 도파민신경세포를 보호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진병관 교수.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진 교수는 “통증수용체와 신경영양인자가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및 기능 회복 효과가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로 학문적 의미가 크다”며 “향후 파킨슨병을 비롯한 다양한 퇴행성 뇌 질환에 관한 신약 개발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브레인(Brain)’ 온라인판에 지난달 21일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2024_5대궁궐트레킹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