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에서는 윤석진 박사(인천발전연구원)의 「인천시 문화창조산업의 현황 및 시사점」, 나혜영 박사(인하대 행정학과)의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공간분포와 입지특성」, 변철희 박사(한국종합경제연구원 인문사회학술팀)의 「인천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화 방안」 등이 발표되었다. 토론자로는 김상원 교수(인하대학교 문화경영학과), 손동혁(인천문화재단 정책연구팀), 김민교(인천시 문화예술과)가 참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07/20151207081317936054.jpg)
제11회 도시인문학세미나: “인천 문화산업 특화방안”모색[1]
윤석진 연구위원은“인천의 문화창조산업은 도서관, 박물관, 사적지 등 장소적 문화자산 관련 산업의 강점이 있어 지속적인 발굴과 활용을 통해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출판문화산업의 경우 유통망 개선을 통한 시장 여건의 조성, 디자인 분야 문화창조산업의 경우 제조업 분야와의 동반성장 전략 수립 등을 주문했다.
나혜영 박사는“창조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재들을 유치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밝혔으며,
변철희 박사는“인천의 문화산업 분야는 산업의 정책방향, 유관기관 역량(추진사업), 대표문화산업 등 3대 전략의 연계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종합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책의 수도 선정을 계기로 출판관련 분야의 유기적 통합과 특화 전략을 예시하였다.
김창수 연구위원(도시인문학센터장)은 “인천의 문화산업현황은 입지여건으로 볼 때 강점이 두드러지지 않은 이유는 일반산업처럼 생산중심으로 분석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유통과 플랫폼 전략으로 본다면 인천의 창조산업의 강점은 타 도시에 우위가 분명하게 드러나므로, 창조산업 마켓플랫폼을 조성하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비용대비 효과가 높으면서 창조산업의 뿌리가 되는 이야기산업(스토리텔링) 관련 투자를 통해 창조산업 전체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도시관광 및 브랜드 강화를 단・중기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