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비정규직법의 풍선효과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시장 구조와 인력수급에 맞춘 유연한 노동정책이 검토돼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바탕으로 2007년 시행된 비정규직보호법이 노동시장에 가져온 효과를 분석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시행 2년 전인 2005년을 기준으로 전체 임금근로자 수는 연평균 2.3% 증가했다. 시간제 근로자 수는 7.7%, 파견 5.7%, 용역 3.8%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여 정규직 근로자 수 증가율인 3.3%를 상회했다.
정규직 대비 기간제 근로자 임금은 2005년 74.5% 수준에서 비정규직보호법이 전 사업장에 적용되는 2009년에 65.5%까지 하락했다. 지난해에는 67.8%에 머물러 있어 기간제 근로자의 임금수준 개선 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계약갱신이 불가능해진 근로자의 비중은 늘고 향후 근속 기대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도 증가해 고용 불안이 가중된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