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9/20151229125037999323.jpg)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28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 방안과 관련한 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아주경제=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중국 관영언론을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한 중국의 불편한 심기가 표출됐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29일 '한일 협상이 일본 대(對)중국 견제수 늘리지 못한다'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한국과 일본 정부 간 관계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번 협상 타결이 동북아 정세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협상 타결의 배경에 한·미·일 3국 동맹에 힘을 더해 '아시아 재균형' 전략을 추진하려는 미국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면서 "일리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의 의의를 지나치게 과장한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신문은 "이번 협상 타결이 한국과 일본 정부간 관계 개선의 물꼬를 터줄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것이 한국이 주변국 외교전략을 바꾸거나 일본에 완전히 마음을 열었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한국 내 위안부 관련단체는 협상 타결에 오히려 반발했고 이에 여론은 위안부 문제 해결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면서 "한국 내 반일 정서가 여전히 강해 한국 정부도 쉽사리 외교 전략을 수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문은 이어 "한일 양국 역사 문제의 극히 일부분이 이번에 해결된 것 뿐"이라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의 '화해'가 일본의 침략사 부정에 대한 중국의 강경 입장을 바꿀 수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환구시보 외에도 다수 언론이 한일 협상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한일 관계가 위안부 문제 타결로 전환점을 맞게 됐다"면서 "하지만 이번 합의는 일본의 양심에 의한 것이 아닌 미국의 압박에 따른 정치적 선택으로 유감스럽다"라고 29일 보도했다.
홍콩 봉황망도 "이번 합의는 정부 차원에서 달성된 것으로 한국 위안부 피해자들의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면서 "일본의 '철저한 반성'이 전제되지 않았다"라고 한계점을 지적했다.
전날 중국 외교부도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 소식에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오후 정례브리핑을 통해 "우리는 해당 소식을 주목하고 있다"며 "중국은 초지일관 일본이 침략과거를 직시하고 책임감있는 태도로 문제 해결에 나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