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는 기존 여성가족부의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가 도내 다문화가족의 특성과 그에 따른 정책수요 변화와 추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 14개 시․군 다문화가족에 대한 국적별․지역별 현황과 실태파악을 통해 전라북도의 기초통계자료를 만들기 위해 추진됐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9/20151229140251860070.jpg)
▲전북도내 다문화 국적자 지역별 분포[사진제공=전북도]
이번 조사는 전북도 차원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초의 전수조사로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도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및 혼인귀화자 9,452명을 대상으로 전문조사원이 방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전체응답률은 74%에 달했다. 주요 내용은 결혼이민자의 개인과 가구특성, 가족생활, 경제활동, 사회생활, 한국사회 적응과 교육 및 지원, 보건의료와 삶의 질, 자녀의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등이다.
설문조사는 한국어뿐만 아니라 9개 외국어로 제작했다. 조사 항목은 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과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7개 부문 116개 항목으로 구성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2/29/20151229140429767448.jpg)
▲전북도내 다국적 가족 국가별 분포도[사진제공=전북도]
전북도는 추후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 증가 등을 예상해 학교적응력 제고, 정체성 확립, 진로지원 등을 추진할 다문화청소년 진로사업을 지원키로 했으며, 14개 시군 특성을 반영한 통계자료를 기초로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추이변화에 따른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책지원을 단계적으로 해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