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협의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회계감리를 진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다만 회계감리 진행 여부 및 언론의 질의에 대해 일절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응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회계 전문가들은 대우조선해양 회계감리 돌입에 대해 필연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는 4조2000억원이라는 막대한 혈세가 투입된 상황에서 회계감리를 눈감을 경우 특혜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이번 회계감리에서 금융당국은 수조원의 적자를 기록한 프로젝트들의 총예정원가 산정 규모를 낮췄거나 공사중 발생한 예정원가 증가분을 충당금으로 설정하지 않고 미청구금액으로 고의적으로 돌렸느냐하는 점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의 분식 여부는 결과가 나오기까지 예단은 어렵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에는 손실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예상손실을 공사손실충당부채로 인식해야 한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대규모 적자가 발생한 해양프로잭트의 예정원가 증가분을 인도시점에 인식하는 관행상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어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GS건설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조선과 건설 등 수주산업들의 경우 이같은 회계 절차가 당연시 돼 왔다는 점에서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회계전문가는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결론은 단기간에 내리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 “업계의 회계 관행과 회계처리 규정간의 차이가 있고 고의성, 관련업계에 줄 영향 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상당수 회계 전문가들은 대우조선해양이 실제 분식회계에 나선 것으로 내다보는 견해도 많다.
경제개혁연대는 지난 7월 논평에서 “건설업과 조선업 회사들이 해외 사업장을 중심으로 장기공사계약 및 예상손실의 인식 시점에 대한 회계처리상의 재량을 이용해 대규모의 손실을 은폐할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한 회계학회 관계자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분식에 무게가 실린다”고 견해를 전했다. 다만 고의성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결론은 달라질 수 있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
김광수 김광수경제연구소장도 시민공부방 강연에서 “(재무제표의) 앞뒤가 안맞는다. 영업현금흐름에서도 현금부족현상이 지속됐다”면서 “매출액은 늘어난 대신 영업이익이 줄고, 미청구공사금액도 늘었다. 이는 거의 회계분식”이라고 개인적 의견을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