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13/20160113101128348789.jpg)
2014~2015년 주택임대관리업 등록업체수 변동추이 [자료=국토교통부]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기업형임대주택(뉴스테이)’ 등 주택시장 내 임대주택 확대에 따라 최근 주택임대관리업의 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공식 등록된 주택임대관리업체수가 174개, 관리실적은 총 1만4034가구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144개·8839가구) 대비 업체 수는 약 21%(30개), 관리실적은 59%(5195가구)가량 크게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내 주택임대관리업체 관리실적이 1만291가구로 집중됐다. 지방은 3743가구에 그쳤다.
유형별로는 실제 임대료의 일정비율을 위탁수수료로 받고 임대료 징수와 임차인 관리, 시설물 유지관리 등을 대행하는 ‘위탁관리형’ 영업실적이 1만2900가구로 가장 많았다.
반면 주택임대관리업체가 일정액의 임대료를 주택소유자(임대인)에게 보장하고 임대한 주택을 임차인에게 재임대(전대)하는 ‘자기관리형’ 영업실적은 1134가구에 불과했다.
자기관리형의 경우 보증보험 가입에 따른 부담과 상대적으로 높은 관리비용에 대한 임대인의 계약 거부감이 크게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임대관리업은 임대인의 임대주택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임차인에게는 전문적인 주거서비스를 제공해 주택임대시장 선진화를 목적으로 2014년 2월 도입됐다. 이미 임대주택 공급이 활성화된 일본 등에서는 널리 퍼진 제도다.
최근 국내 주택시장에서 월세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주택의 유지보수와 임차인 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주택임대관리업의 중요성이 앞으로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특히 국토부가 핵심 정책으로 추진 중인 뉴스테이와 맞물리면서 동탄과 위례 등 주요 사업지역에는 주택임대관리업체가 단지별로 특화된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업이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국토부 주택건설공급과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고, 이달 6일 한국주택임대관리협회에 공식 인가를 내주는 등 정부도 주택임대관리업 확대에 큰 관심을 쏟고 있다”면서 “주택관리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될 주택임대관리업 육성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 다양한 제도개선과 지원책을 강구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13/20160113102224486451.jpg)
주택임대관리업 유형별 비교표 [자료=국토교통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