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응급이송 유형별 이송 현황]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 119구급대가 작년 하루에 평균 1388건 출동해 919명을 이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급대 이용은 각 유형별로 50대, 오전 8~10시, 5월에 빈번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25일 발표한 '2015년도 119구급대 활동실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 해 총 50만6546건 출동해 33만 5470명의 환자를 옮겼다.
환자는 급만성질병이 21만139명(62.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추락·낙상 14.4%(4만8389명), 기타 12.8%(4만2831명), 교통사고 10.2%(3만4111명) 등이었다.
연령대는 51~60세(17.1%), 71~80세(14.3%), 41~50세(13.1%) 등 노인층과 중·장년층에서 구급서비스 수요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직업별로는 무직 12만2935명(36.6%), 회사원 4만7956명(14.3%), 주부 4만3459명(13%), 학생 3만83명(9%) 순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8~10시에 집중(3만5146명, 10.5%)됐다. 다음으로 오전 10~12시(3만2941명, 9.8%), 오후 8~10시(3만 1,848명, 9.5%) 등으로 집계됐다.
월별을 보면 5월이 2만9842명(8.9%)으로 가장 잦았으며 8월(2만9399명, 8.8%), 9월(2만9171명, 8.7%) 순이었다. 6월은 2만6045명이 이용해 가장 저조했다.
이 기간 구급대원은 환자 33만5470명에게 85만4800건의 응급처치술을 시행했다. 세부적으로 기도확보 24.1%(20만5904건), 보온 11.7%(9만9963건), 상처 처치 9.9%(8만4555건) 등으로 파악됐다. 전년 대비 약물투여(77.2%), 순환보조(15.1%), 기도확보(0.02%) 시행 수가 늘어났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119구급대 역할은 빠른 출동과 적절한 응급처치 및 안전이송이 핵심이므로 그간 실적을 분석해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며 "설 명절에 구급대를 선제적으로 배치하는 등 적극적 구급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