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박사)은 ‘중국경제의 리스크 점검과 대응방안’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최근 중국에 대한 수출증가율이 떨어져 딜레마에 빠져 있다”면서 “중국이 가공무역과 중간재 수입을 축소하고 있어 수출부문의 활로를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연구위원은 이날 중국의 경기둔화 및 개혁으로 인해 우리나라가 받을 위협요인으로 △경기둔화 지속 △산업경쟁력 강화 △금융 리스크 지속 등을 들었다.
우선 중국의 경기둔화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따른 적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연평균 국민총생산(GDP)이 6.9%로 7%가 붕괴된데 이어, 오는 2020년까지 연평균 6.2%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 경제가 하락세를 나타내자, 중국정부는 향후 5년간 6.5%의 성장을 목표로 경제 전반의 구조개혁 및 내수 중심의 성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 연구위원은 “중속성장에 맞는 새로운 대 중국 비즈니스 플랜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대(對) 중국 수출 수요 둔화에 대비해 수출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중국의 경기둔화는 국내에 유입된 중국 자본의 이탈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깊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가별 상장주식 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말 중국계 자금은 9조4920억원에서 2015년말 9조337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어 올해 2월말 기준 8조4020억원으로 급격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해외자금 이탈은 국내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고, 이는 시중 자금의 부동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된다.
한 연구위원은 “국내 외환시장의 안전한 강화를 위한 통화스와프를 확대해야 한다”며 “환율 급변동으로 유발되는 환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한 중국의 산업경쟁력 강화도 우리나라에 위협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의 기술력이 빠르게 향상하면서 중국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한‧중간 무역은 2000년 41.7%에서 2013년 53.8%로 증가했다. 특히 산업내 무역 중 중간재가 2000년 42%에서 2013년 60.1%까지 상승한 상태다. 현재 중국이 빠른 기술추격으로 중간재 및 소비재를 국산화하고 있어 리스크가 확대된 상태다.
이에 대해 한 연구위원은 “연구개발(R&D) 효율성 제고를 통해 고부가 미래형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며 “한‧중 FTA를 활용한 양국간 산업기술 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연구위원은 중국경기 침체가 위기지만 기회요인은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질적으로 향상된 중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대 중국 서비스 및 소비재 시장을 발굴해야 한다”면서 “올해 중국 정부는 투자 주도의 성장을 이끌것으로 보인다. 일대일로와 인프라투자가 가속될 가능성이 높아 건설 등 관련산업에서 정부와 기업간 조율틍 통해 기회를 얻어간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