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해역 환경 모니터링과 관리를 위한 이 사업은 지난 2004년부터 매년 전문연구기관이 시행해 왔다. 이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 등은 배출해역환경현황 파악이나 변화 추이 분석, 배출해역 관리정책 마련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지난 2월 발표된 2015년 모니터링 결과는 ‘육상폐기물 해양배출 제로화’ 정책에 따라 폐기물 해양배출이 급감해 배출해역 환경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수부는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난 5월 ‘폐기물 배출해역 복원‧관리 정책’을 마련하고, 일부 오염심화 구역에 대한 복원 방안으로 준설토 피복 효과를 분석‧제안한 바 있다.
또 오염도가 높은 구역이나 준설토 피복 구역 등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해 배출해역 관리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다.
해양과학기술원, 수산과학기술원 등 전문연구기관은 현장 조사 시 채취한 해저퇴적물 및 저서생명체 샘플을 기반으로 퇴적물 내 중금속 농도, 생태 독성 여부,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 다각적으로 분석해 올해 말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황의선 해양수산부 해양보전과장은 “이번 모니터링을 통해 육상폐기물의해양배출 전면 금지 이후 해양환경 변화 모습을 분석할 계획”이라며 “오염심화구역을 정밀 조사해 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향후 배출해역 중장기 복원 정책에도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