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부산지역의 중소기업의 경우 병역특례 인원을 생산직과 기술직으로 가장 많이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도 폐지는 지역 제조업 전반에 샌산, 기술직 인력난을 가중 시킬 전망이다.
부산상공회의소는 8일 52개 업체를 대상으로 지역 중소기업의 병역특례 활용실태와 국방부 병역특례 폐지 방침에 대한 업계의 의견을 긴급 모니터링 했다.
긴급 모니터링 결과, 응답업체의 56%가 병역특례 인원을 생산직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다음으로는 기술직 31%, 연구개발직 13%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 편중이 심한 기술, 연구 인력시장에서 병역특례가 중소기업들이 양질의 인재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실제 대기업 수준의 인건비를 부담하고 기술․연구 인력을 채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병역특례제 폐지에 대한 대안으로는 ‘대체인력 신규고용’이 79%로 가장 많았고 생산 및 사업규모를 축소하겠다는 기업도 21%나 되었다.
하지만 기술, 연구직에 대한 인건비 부담을 감수하고 대체인력에 대한 신규 채용에 나서더라도 중소기업을 선택할 인적자원이 있을지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상황이라 기술, 연구 인력에 대한 구인난은 심화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조사기업 모두가 병역특례제도 폐지를 반대했고 오히려 점진적 배정인원 확대를 요구한 기업도 많았다.
병역특례제 존치 여부에 대한 응답 결과 67%가 ‘제도 존치’를 바랬고 32%는 ‘배정 인원 확대’를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병역특례제 폐지를 강행할 경우에는 이로 인한 중소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고용보조금 지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대다수가 기술, 연구직을 포함한 전문 기술인력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으로 인력채용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보전할 수 있는 인건비 지원이 가장 현실적 대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이번 긴급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국방부의 병역특례제 폐지 방침에 대한 반대 건의서를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련 중앙부처에 각각 전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