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경향은 금융당국이 올해 들어 중금리 대출 활성화를 촉구하면서다. 지금껏 중신용자들은 저신용자와 동일한 고금리를 적용 받았다. 중금리 대출 상품이 없어서 중신용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고금리로 대출 상품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고신용자는 5% 미만의 저금리로, 중·저신용자는 하나로 묶여 20% 초과 금리로 대출을 받는 금리단층이 문제였다.
현재 중금리 대출 상품들이 서서히 나오면서 금리단층 문제는 다소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향후 '부실률' 문제가 불거지면 이 같은 현상이 ‘반짝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신용정보가 부족한 고객인 띤파일(thin file)의 경우 정보가 없어서 등급을 매기기 애매하다"며 "중신용자를 발굴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신용도를 판단하는 신용평가시스템(CSS)을 두고도 업계 내 목소리가 엇갈린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리스크 관리 노하우에 SNS 등 빅데이터와 다양한 정보를 결합해 CSS를 구축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CSS를 고도화하기는 했으나 100% 신뢰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지난 17일 "중금리 대출과 관련한 신용평가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빅데이터 활성화, 대부업 정보 공유를 확대하겠다"고 밝힌 점은 당국도 이러한 우려를 인지한 것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