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3일 서울 중구 소공동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 기자회견이 열린 가운데 김동호 신임 조직위원장과 강수연 집행위원장이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김동호 조직위원장은 “심려를 끼쳐드린 국민 여러분과 국내외 영화인들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한 뒤 “그동안 표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 온 영화제에 대해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신 국내외 영화인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또 그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명예를 훼손당했거나 고초를 겪은 스폰서, 집행위원회 자문위원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는 말로 인사를 전했다.
김 위원장은 “저와 함께 영화제를 창설하고 지난 20여 년 동안 영화제를 세계적인 영화제로 이끌어 오신 이용관 전임 집행위원장, 전양준 부위원장께서 고발당하고 기소당하고 그리고 사법부의 심판에 맡겨지게 된 것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조직위원장으로서도 그 분들이 어떤 형태로든 명예회복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으면 도울 것”이라며 전 집쟁위원장인 이용관과 전양준 부위원장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첫째 지원은 받되 간섭을 받지 않는다는 원칙과 정체성을 철저하게, 보다 선명히 지켜나갈 것이고 그렇게 되도록 조직위원장으로서 보장하고자 한다. 영화제에서 작품 선정은 그 본질에 해당한다. 둘째, 작품 선정에 있어서는 그 누구도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집행위원장과 특히 프로그래머가 자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다. 셋째, 이런 것들을 기초로 해 영화계가 바라는 방향에서 정관개정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완료해 영화제가 꼭 시급히 해야 할, 작품 선정 작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 넷째, 그동안 영화제에 제기된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들을 계속 수렴해 조직과 사업, 운영 전반에 걸쳐 개선, 혁신시켜 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장은 “20년의 성장통을 딛고 영화제가 새로운 20년을 향해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또 모든 중요한 권한들을 강수연 집행위원장에게 전적으로 위임해 업무를 효율적,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영화제의 성공적인 개최에 대한 희망을 전했다.
앞서 부산국제영화제는 많은 고초를 겪어왔다.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영화제 조직위원장을 겸직하게 된 서병수 부산시장이 세월호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 취소를 요구했고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와 부산시의 갈등이 더욱 깊어졌다.
거기에 부산시는 지난해 초 이용관 BIFF 집행위원장 사퇴를 종용했고 BIFF에 영화제 예산 삭감, 영화제 쇄신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영화인들이 영화제 불참을 선언한 가운데 부산국제영화제 측은 “오는 5월 중으로 임시총회를 열어 관련 정관을 개정할 것”이라며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을 조직위원장으로 선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