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도로명주소 정착 위해 미사용부문 전환사업 집중 지원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12 10: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연구원은 옥진아 연구위원은 12일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과제' 보고서에서,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도로명주소 정착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경기도민 1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 도로명주소를 사용해본 사람은 66.6%이며 여전히 지번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33.4%로 나타났다.

도로명주소가 불편한 이유는 ‘지번주소를 도로명주소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31.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명주소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기억하기가 어렵다(50.7%) 사용할 일이 없다(27.0%) 위치 찾기가 더 어렵다(20.7%) 순으로 조사됐다.

도로명주소는 민원업무(72.3%)나 우편물(69.0%)과 같은 공공부문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실생활과 밀접한 음식배달(18.8%)과 길찾기(17.6%)에서는 이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도로명주소 표지판 등 안내시설문 추가설치(60.3%) △택배, 내비게이션 등 생활 속에 도로명주소 정착지원(57.1%) △홍보·교육(53.7%)’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현 도로명주소 체계는 지번주소와의 이중사용으로 인한 불편함, 지번주소보다 길어 외우기 어려움, 잦은 도로명주소 변경으로 인한 혼선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로명이 길고 숫자가 포함되어 외우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20%이상 동의 시 도로명주소를 변경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잦은 주소변경으로 이용자의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다.

옥진아 연구위원은 도로명주소 활성화 전략으로 △도로명주소 미사용부문 중심의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집중지원 △생활밀착형 도로명주소 안내시설 확충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의 맞춤형 홍보·교육 강화 △중앙정부 차원의 지자체 홍보사업 선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업소의 영수증과 홈페이지 등을 제보 받아 도로명주소 사용을 장려하는 ‘도로명주소 신문고 제도’를 지난 해 전국 최초로 도입,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으로 집중 홍보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