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중소기업청]
중기청은 위기에 빠진 경남지역 조선·기자재 업체를 방문해 현장애로를 청취하고 정부의 노력을 설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중기청이 지난 7월부터 이번달까지 284개 기자재업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와 실태조사에서 업체들의 65.1%가 올 상반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하는 등 상당수 업체들이 조선업 불황 및 구조조정 여파로 수주난을 겪고 있는 걸로 나타났다.
이들은 ‘수주감소’가 가장 큰 애로사항(86.3%·이하 복수응답)이며 ‘민간은행의 조선업 융자제한’과 ‘경영자금 압박’(38.7%), 단가인하 압력 및 저가경쟁(44.0%)도 주요한 애로사항으로 답변했다.
이에 중기청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분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추진 중이며 추가 지원계획도 마련했다.
중기청은 상시적 기업애로 파악을 위해 지방중기청을 중심으로 운영하던 ‘모니터링단’을 ‘조선·기자재 현장애로지원단’으로 확대해 애로를 접수하고 해결기능을 수행 중이다.
조선업 협력기업 경영애로 극복과 수출지원을 위해 정책자금 1000억원, 수출보증 1000억원을 지원 중이다. 조선업 피해지역 소기업·소상공인 지원 특례보증 1000억원도 편성해 지원 중이다.
앞으로 ‘조선업 구조조정 및 중소기업 경영애로’ 해결을 위해 1조7000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마련해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며 추경 통과 즉시 지원을 시작할 계획이다.
우선 조선업 협력 중소기업들의 금융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2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편성했고 대출금리도 기존 3.52%에서 2.47%로 인하해 지원할 예정이다.
‘조선업 구조개선 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조성해 조선업과 관련 협력업체 중 회생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자금을 공급해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유도한다.
해외로 매출처를 다변화하는 업체를 위해 조선업 분야 전문 글로벌 시장개척 전문기업(GMD)와 매칭해 수출성사까지 지원하는 한편, 조선·해양 분야 무역촉진단을 파견해 해외마케팅 등도 지원한다.
사업다변화를 추진하는 업체를 위해 사업전환컨설팅을 통해 기업별 사업다변화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유망업종·품목 기술개발을 위해 ‘조선업 연구마을’도 조성한다.
대기업 퇴직 기술자의 해외유출을 막고 국내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조선업 퇴직자 기술창업 존(Zone)’을 시범 설치한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조선업 위기 상황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로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플랜트·발전설비·특수기계 등 유망품목·업종으로 사업다각화를 더욱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