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7분께 경주시 남남서쪽 10km지역에서 규모 2.1의 여진이 발생했고, 현재까지 경주 여진은 총 374회 일어났다.
규모별로 보면 1.5∼3.0이 359회로 가장 많고 3.0∼4.0 14회, 4.0∼5.0 1회 등이다. 경주 여진 발생횟수는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일어난 지진(396회)에 거의 이르고 있다.
이를 연도별로 보면 2009년 60회, 2010년 42회, 2011년 52회, 202년 56회, 2013년 93회, 2014년 49회, 지난해 44회 등이다.
뿐만 아니라 관측이 시작된 이후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한 2013년의 4배를 훌쩍 뛰어넘는다.
지난 12일 오후 8시 32분께 경주시 남남서쪽 8㎞지역에서 규모 5.8의 본진이 일어난 바 있다. 이는 관측사상 역대 최강의 지진이다.
종전 최대 규모 지진은 1980년 1월 8일 오전 8시 44분께 평북 서부 의주-삭주-귀성지역의 규모 5.3이다.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의 위력을 단순히 비교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무리이지만 계산상으로는 경주의 규모 5.8 지진은 북한의 5차 핵실험 강도보다 50배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여진은 12일 밤 8시 43분 22초 경주시 남남서쪽 10㎞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3의 지진이다.
한편 지진의 종류를 시간별로 분류하면 대규모의 본진이 발생하기 며칠 전이나 몇 주 전부터 종종 작은 규모의 지진이 연속 발생하는데, 이를 전진이라 한다. 본진이 끝난 후에도 보통 이보다 작은 규모의 지진이 여러 차례 일어나는데, 이를 여진이라고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