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07/20161107085009829079.jpg)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주재,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산업통상자원부]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차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4차 산업혁명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과 함께 민관협의회 공동의장을 맡은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주요 변화로 스마트화, 서비스화, 플랫폼화, 친환경화 등 4대 메가트렌드를 제시했다.
주 장관은 "4차 산업혁명 대응기반을 조기에 확보하려면 규제 없는 개방적 경쟁환경 조성,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창의적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용만 회장은 "외부와 파트너십 확대를 통한 협업문화 확산 등 기업이 일하는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며 "신산업 분야에 대해 대대적으로 규제 개선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협의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 등을 토대로 올해 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방향'(가칭)을 올해 말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