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임이슬기자 90606a@]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삼성SDI와 LG화학 등 국내 배터리업체들의 중국 사업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생산기업의 인증기준에 대해 완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내 업체들이 생산하는 삼원계 리튬(NCM)배터리에 대한 전기버스 보조금 금지령이 새해부터 풀리면서 규제 문턱이 낮아지는 것 아니냐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오는 22일까지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 생산기업의 연간 생산능력 기준에 대한 의견수렴을 진행한다.
앞서 지난 7일 열린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준 공청회'에서 중국 업체들은 생산 능력기준을 단계적으로 완화해 시행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기업들마다 생산능력 맞추려고 생산능력 늘리는데만 급급하면 과잉생산 문제를 유발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배터리 기업 중 96%가 도태돼 업계 혼란을 가져올거라는 지적도 있다.
삼성SDI와 LG화학은 일단 관망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일단 중국이 의견을 받는다고 해서 개정안에 반영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며 "마감기한까지 의견을 제출할지 고민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중국 업체들이 의견을 개진하고 있으니 부정적인 상황이 다소 나아질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공업정부화부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 생산기업의 연간 생산능력을 8기가와트시(GWh) 이상으로 높였다. 기존보다 40배나 높은 수준이다. 최근 2년간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사고가 없어야 한다는 기준도 추가됐다.
올해를 기준으로 볼 때 이 기준을 충족할 업체는 중국의 1000여 개 배터리사 중 BYD와 CATL뿐이다.
국내 업체 입장에서도 당장 충족이 불가능하다. 삼성SDI와 LG화학 두 곳의 중국 내 생산능력은 2~3GWh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국내 업체인 SK이노베이션은 현재 중국에 생산 설비를 갖추지 않고 있다.
고무적인 것은 삼성SDI와 LG화학이 생산하는 삼원계 리튬(NCM)배터리를 사용한 전기버스 보조금 금지령이 내년 해제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공업정보화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신에너지차량 보급용 추천차량 목록'에 신청할 수 있는 버스 유형에 삼원계 배터리 버스를 넣었다. 안전시험만 통과한다면, 삼원계 배터리를 장착한 버스도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는 것이다.
각 배터리 업체는 ‘전기버스 안전기술조건’을 만족시킨다는 제3기관의 검사보고서를 내야한다. 기한은 내년 7월 1일까지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1월 자국 업체가 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방식 전기버스 배터리에만 보조금을 주고 삼원계 방식 배터리에 대해서는 안전성 등을 이유로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잠정적으로 제외한 바 있다.
삼원계 방식은 효율이 높은 신기술 방식으로 통한다. 세계 시장의 80%를 차지할 정도다.
물론 삼성SDI와 LG화학이 넘어야 할 문턱은 여전하다. 삼원계 배터리 탑재 버스에 보조금을 다시 준다고 해도 중국 당국이 인정하는 제3기관이 검사보고서에서 불합격을 주면 보조금 수혜를 입을 수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