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14일 제22차 정례회의에서 K뱅크의 은행업 영위를 본인가 했다. 지난 1992년 평화은행 인가 이후 24년 만에 처음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의 특성을 감안해 'K뱅크는 은행업을 전자금융거래법상 전자금융거래의 방법으로 영위해야 함'을 부대조건으로 부과했다.
즉 은행이 CD, ATM, 컴퓨터, 전화기 등 전자적 장치를 통해 금융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는 은행 종사자와 직접 대면하거나 의사소통하지 않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금융상품·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의미다.

심성훈 K뱅크 초대 은행장이 케이뱅크 사업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심성훈 K뱅크 초대은행장은 "인터넷은행 출발은 다른 나라에 비해 늦었다"면서 "국민들의 스마트폰 보유 비율이 91%에 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IT환경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혁신 속도가 빠를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서비스는 중금리 개인 신용대출(빅데이터 기반), 간편심사 소액대출(통신요금 납부정보 등 활용), 체크카드, 직불 간편결제 서비스, 퀵송금 등이다. 추후 신용카드업, 방카슈랑스, 펀드판매업은 설립 이후 별도 인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정부는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영이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인터넷전문은행 현장지원반'(가칭)을 한시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중신용자·청년층에 대한 중금리대출, 그리고 보다 낮은 결제‧지급수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해 시중은행 뿐 아니라 저축은행 등 2금융권과도 폭 넓은 경쟁을 활성화해달라"고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