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03/20170103150755528910.jpg)
2019광주세계수영대회가 본격적인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사진=광주시 제공]
아시아에서 일본 후쿠오카(2001), 중국 상해(2011)에 이어 3번째로 개최되는 광주수영선수권대회는 2019년 7월19일부터 8월16일까지 29일간 207개국 1만5000여 명이 참가해 남부대, 진월테니스장, 광주시청, 장성호 등에서 열린다.
특히, 광주수영대회는 17일간의 선수권대회에 이어 12일간의 동호인들이 참가하는 마스터즈선수권대회가 열려 대회 기간이 올림픽보다 12일이 많은 29일로 가장 길며, 흥행성 면에서도 하계․동계올림픽, 월드컵축구대회와 함께 4대 메가 스포츠 대회로 평가받고 있다.
대회 기반시설인 선수촌은 재건축 방식의 송정주공아파트를 선정하고 현재 주민 이주가 거의 완료(99.5%)돼 철거가 진행 중이다. 1월 착공해 2019년 4월 준공 예정이다.
경영과 다이빙 경기가 열리는 남부대 시립 국제수영장은 현재 3290석인 관람석을 1만1000석 규모로 증축하고 운영실도 확장하며 다이빙 지상훈련장도 설치할 계획이다.
오픈워터 경기가 열리는 장성호에는 2000석 규모의 관람석과 전기설비를 설치하게 된다.
임시시설은 싱크로나이즈 경기장은 남부대 운동장, 수구경기는 진월테니스장, 하이다이빙 경기는 광주시청 문화광장에 각각 설치되며 임시 수조와 3000석 규모의 관람석, 운영실을 갖추게 된다.
대회 개최 필요 사업비는 준비 과정에서 약간의 증감은 발생할 수 있으나 용역결과 1935억원으로 산출됐다.
조직위원회는 최소 비용으로 대회를 준비하다는 방침으로 소요사업비의 3분의1은 정부, 3분의1은 광주시 지원금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3분의 1은 마케팅을 통한 자체수입으로 충당해 나갈 계획이다.
국비는 2016년 20억원, 2017년에는 49억원 등 지금까지 총 69억원이 확보됐다. 특히 올 국비는 규모를 떠나 정부 스스로 예산을 반영했고 국회가 심의과정에서 증액한 만큼, 정부와 국회로부터 수영대회 지원 의지를 받아냈다는데 의미가 있다.
홍보와 마케팅은 대회의 철학과 비전을 담은 새로운 슬로건과 공식 엠블럼, 마스코트를 2017년 상반기 중으로 개발 완료하고, 온·오프라인 홍보 인프라를 구축해 국내외 홍보에 시동을 걸 방침이다
조직위는 자체수입 확보를 위해 후원기업 유치 활동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전 세계 200여개국 68억명이 TV로 대회를 시청하고, 중계시간만 6,000여 시간에 달하는 등 상업적인 가치가 큰 대회임을 부각시켜 국내외 기업들의 관심을 끌어 낼 생각이다.
광주수영대회 경제적 성과에 대해 전 광주발전연구연은 생산유발효과가 1조400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6500억원에 달하며, 고용창출 효과는 1만8000여 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 이외에도, 2019광주수영대회는 ‘광주’라는 도시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