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여겨 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하면, 본격적인 미·중 환율전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런 과정에서 중국 위안화 가치가 가파르게 떨어지고, 외환보유고가 말라간다면 신흥국 외환위기가 이어질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시나리오일 뿐으로, 성급한 우려라는 시각도 적지않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경제학자 모임인 전미경제학회(AEA)는 이달 6~8일 열린 연차총회에서 미 금리와 달러화 가치 상승이 신흥국 외환위기를 비롯한 새 금융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전미경제학회는 '부채 슈퍼 사이클'(신용 팽창→자산가격 상승→신용 재팽창→자산가격 추가 상승→급격한 거품 붕괴)에 주목했다.
학회는 "부채 슈퍼 사이클이 해소되지 않는 한 금융위기 종식은 불가능하다"며 "차이나 리스크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래리 서머스 미 하버드대 교수도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금융분야 규제를 완화할 경우 또다시 금융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머스 교수가 미 민주당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인물인 만큼, 정치적인 공세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이는 무시하기 어려운 경고다.
실제 중국은 마지노선으로 여겨 온 '위안·달러 환율 7위안, 외환보유고 3조 달러'가 무너질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중국이 미국과 환율전쟁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미 달러화 강세와 중국 위안화 절하, 중 외환보유고 감소가 현실화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많다. 이미 2015년 말 전 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했던 중국발 금융쇼크가 더 큰 파괴력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과도한 우려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중국발 금융위기설은 근거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반자유무역주의 리스크를 꼽는다. 이런 과정에서 중국 환율 조작국 지정, 외환보유고 감소, 위안화 절하가 급격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발 금융위기가 당장 현실화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규엽 한중금융연구센터장 겸 대성자산운용 대표는 "미·중 수출구조를 봤을 때 미국이 중국에 압력을 가해 득을 볼 게 많지 않다"며 "트럼프 역시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금융당국도 필연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할 것"이라며 "중국 정부와 가계가 보유한 부채도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많지 않은 편으로, 중국발 위기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했다.
중국 외환보유고 감소도 비정상적으로 불어났던 규모가 제자리를 찾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있다는데, 이는 과거 미 양적완화기에 과도하게 증가했다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투기성 자금이 빠져나가는 현상에 불과하다"며 "현재 중국 외환보유고 수준은 위기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고 말했다.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통상 마찰 우려가 크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금융위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며 "하지만 중국 정부가 구조조정과 위험관리를 꾸준히 진행해 온 만큼 그 확률은 크지 않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