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이른바 ‘어게인(Again) 2012’다. ‘5·9 장미 대선’ 구도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예비후보 간 양자 대결로 사실상 좁혀졌다. ‘슈퍼 위크’를 거치면서 두 후보가 양자 구도를 형성해서다. 이들은 2012년 대선 국면에서 야권 단일화를 놓고 건곤일척의 승부를 벌인 바 있다.
당시 60년 전통의 민주당을 등에 업은 문 후보와 ‘안철수 현상’을 앞세워 무소속 돌풍을 일으킨 안 후보는 ‘반(反) 박근혜’ 전선을 고리로 전략적 공조 행보에 나섰다.
그러나 안 후보는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20여일 앞두고 “영혼을 팔지 않았다”라는 말을 남기고 후보직을 전격 사퇴했다. 야권 단일화 룰 협상 과정에서 문 후보 등 당시 민주통합당(현 민주당)의 패권주의를 비판한 말이다.
문 후보 측은 룰 협상 과정 내내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며 안 후보 측의 협상 태도를 비판했다. 이들의 화학적 결합 실패로 당시 야권 단일화는 미완으로 남았다. 18대 대선 최종 결과는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51.6%로, 48.0%에 그친 문 후보에게 신승을 거뒀다. 마침표를 찍지 못한 두 후보의 리턴매치가 5년 만에 이뤄지는 셈이다.
◆‘文 vs 安’ 전제조건은 ‘중도·보수 단일화’
3일 정치권과 정치전문가들에 따르면 ‘문재인 대 안철수’ 구도의 전제조건은 중도·보수 단일화다. 이른바 ‘반문(반문재인) 연대’인 셈이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 중 한명이라도 독자 완주를 선택할 경우 ‘문재인 대 안철수’의 양자구도는 불가능하다. 87년 체제 이후 전례 없는 첫 번째 도전이다. 그만큼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얘기다.
실제 1992년 대선 때도 김영삼(YS) 당시 민주자유당 후보가 3당(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 합당을 통해 대권 도전에 나섰지만, 정주영 통일국민당 후보가 전격 출마해 중도·보수층의 일부 표를 흡수하는 바람에 힘겨운 대선을 치러야 했다.
1997년 대선 당시에는 이인제 당시 국민신당 후보가 YS 지지를 업고 출마, 부산·경남(PK)에서 30% 득표를 기록했다. 2002년도 대선 땐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가 중도층 표심을 얻고 대권 도전에 나섰다.
특정 후보의 반대를 위한 ‘중도·보수층’의 연대는 역사상 전무후무하다. 민주당 등 야권 일각에서 ‘현실 불가능한 상상 속의 구도’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도 이런 까닭이다.
중도·보수 단일화의 첫 번째 분수령은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후보 단일화 여부다. 홍준표 한국당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과의 통화 사실을 전하며 “함께 가자고 했다”며 오는 15∼16일을 통합 마지노선으로 정했다.
홍 지사가 통합 마지노선을 정한 이 시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 기간이다. 이에 유 후보는 “홍 후보 이야기는 묻지 말라”며 단일화에 선을 그었다. 바른정당이 ‘친박(친박근혜) 청산’을 요구하는 만큼, 홍 후보의 친박 청산 여부가 중도·보수 단일화의 첫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강론’ 安지지율 최대 변수···현실화 물음표
이 시기를 놓치면 이달 18일 이후나 단일화 논의가 가능할 전망이다. 선관위의 선거보조금이 대선 후보 등록 정당 등록일 기준 2일 이내에 지급하기 때문이다. 이때를 기점으로 투표 용지를 인쇄하는 오는 30일까지 대선발(發) 정계개편을 둘러싸고 이합집산이 횡행할 전망이다.
변수는 ‘자강론’을 앞세운 안 후보다. 중도·보수 단일화의 명분은 ‘영·호남’ 화합이다. 영·호남 지역구도는 87년 체제 이후에도 한국 정치의 고질병으로 전락했다. 영남의 한국당과 바른정당, 호남의 국민의당이 전격 손잡을 경우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실상 반문 연대인 중도·보수 단일화 이후 호남을 중심으로 역풍이 확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해 4·13 국회의원 총선거(총선) 당시 호남 28석 가운데 23석을 건진 국민의당으로선 고민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슈퍼 위크’ 기간 문 후보와 백중세를 이룬 안 후보가 지지율 고공행진을 이어간다면, 인위적인 단일화 대신 ‘국민에 의한 단일화’를 택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는 지지율이 가장 높은 자신을 중심으로 지지율이 쏠릴 수밖에 없다는 논리가 깔렸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최근 김종필(JP) 전 국무총리와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 회장 등을 잇따라 만나 ‘경선→본선→대선 이후’ 등 총 3단계로 연대·연합 전략을 논의했다.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중심으로 한 제3지대 인사들의 의중도 중도·보수 단일화 성사 여부의 변수다. 복잡한 이해관계를 풀 구심점이 중도·보수 단일화 성사의 키인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